본문 바로가기

의료/건강/다이어트

비문증 방치하면 큰코 다친다

안구 유리체에 정체를 알 수 없는 벌레나 먼지 덩어리, 점 같은 부유(浮遊) 물질이 둥둥 떠다니는 것처럼 느껴지는 증상이  비문증(·vitreous floaters)이다. 症의 뜻을 그대로 풀면 모기가 날아다니는 증상이다. 한자를 풀이하면 飛(날 비), 蚊(모기 문), (증세 증)이다.

 

젊은이들도 비문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눈동자를 위로하면 윗쪽으로, 왼쪽으로 돌리면 왼쪽으로 이물(異物)들이 함께 이동하는 게 특징이다. 손으로 아무리 잡으려 발버둥쳐도 절대 잡히지 않는다. 주로 지긋한 연령층에서 증상이 발현하지만 최근엔 근시가 심한 젊은 층에서도 적잖게 나타나는 질환이다. 다행스럽게도 시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실명(明) 위험도 없다.

 

그러나 비문증은 완벽한 치료가 어려운데다 재발 또는 후유증 같은 부작용이 따른다. 부작용으로는 망막 손상, 백내장 발생 등이 있다. 암막()을 친 것처럼 어두워 보이거나, 갑자기 부유물 수가 급증하거나,  번개가 칠 때처럼 눈 앞이 번쩍거리면 망막 박리를 의심해보아야 한다.  

 

시력 악화와 실명 위험 없지만 완벽한 치료는 기대하기 어렵다

 

시선의 방향을 바꾸면 이물질이 따라서 움직이는 것이 특징이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잠시 위나 아래를 보았다가 다시

이물질을 응시하면 사라지기도 한다.  

 

비문증은 날파리증으로도 불린다. 대부분 노화현상에 따른 유리체(琉璃體) 변화가 원인이다. 유리체는 수정체와 망막 사이의 안구 속을 채우고 있는 유리구슬 형태 반고체의 투명한 조직이며, 빛을 통과시켜 망막에 물체의 상이 맺히게 하는 기능을 하는데, 나이를 먹을수록 반고체에서 액체로 변하기 시작한다. 시신경과 붙어 있는 부분이 떨어지기도 하는데 이를 유리체박리라고 한다.  

 

너무 예민하면 우울증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민감한 사람의 경우, 비문증 증상이 우울증으로 발전하기도 해 편안한 마음가짐이 요망된다. 그렇지만 갑자기 증상이 악화되면 유리체 출혈, 망막 박리, 포도막염을 의심해야 한다. 비문증의 초기 증상이기 때문이다. 

 

비문증은 보통 40대에 발생하기 시작해 50~60대에 흔해진다. 비문증 환자는 2008년 11만명에서 2012년 17만명으로 급증했다. 이는 병의원 등에 기록된 통계에 나타난 수치여서 실제 환자는 더 많을 것이다.

 

비문증은 시력 악화나 실명을 우려하지 않아도 되는 질환이므로 비문증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예민하게 반응하지 말고 평상처럼 생활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그러나 증세가 악화되기 전 동네 의원이라도 노크하는 게 바람직하다.